The Internet as a New Medium and Internet Ethics
The Internet as a New Medium and Internet Ethics
  • Chung Jin-wook (info@koreaittimes.com)
  • 승인 2012.05.22 10:2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SEOUL, KOREA - Each year, Korea Internet & Security Agency (KISA) issues a white paper on Korea’s Internet environment, available both in Korean and English. The 500 page–long white paper covers a variety of Internet-related information ranging from important statistical data on Korea’s Internet environment, infrastructures, technologies and services to businesses, social trends and relevant laws, so the white paper is very useful as a reference book for those interested in the Internet. The e-book version of the white paper is available for free on the official website of Korea Internet & Security Agency (KISA). According to the 2010 white paper’s statistical data, the number of Korea’s high speed Internet subscribers surpassed 1.6 million and the number of Internet users over age 7 reached 3.6 million. In addition, one out of every two preschool-age kids (3-5 years old) was using the Internet while over 99 % of the students at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were online users. Let’s look into other statistical data to understand the Internet as a new form of media.

The circulation of printed newspapers tumbled from 70% to the 30% range over the past couple of years. On the contrary, the rate of Internet usage doubled from 40% to 80% in Korea. Surveys showed that Korean Broadcasting System (KBS) (Korea’s biggest radio and television network founded in 1927) topped the list of the most influential Korean media brands, followed by MBC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one of four major national South Korean television and radio networks) and Naver (one of Korea’s popular search portals). However, in the under 30 age group, Naver ranked first, KBS second and MBC third. Furthermore, though the ranking order of the most credible Korean media brands was KBS (first), MBC (second) and Naver (third), the order changed to Naver (first), MBC (second) and KBS (third) in the under 30 age group. As for the most frequently used news media, the younger the respondents were, the more often they get online to get latest news reports. Almost 90% of the 20-something respondents hit the Internet to keep abreast with latest news reports. Recently, the high penetration of smartphones has spurred up young people’s dependence on the Internet as a source of news reports. As such a trend is expected to continue generation after generation, there is no denying the Internet will gain ground as the most powerful medium that affects our daily lives just like TV.

The basic functions of the traditional media include news coverage, the formation and delivery of public opinions, surveillance of social environments, the provision of entertainment and playing the role of an impartial opinion deliverer. The functions of the Internet as one of media are no different. However, traditional mass media and the Internet have a few differences, which we need to understand to shun the adverse effects of the Internet and to become unbiased media participants or users. Basically speaking, traditional mass media, namely printed newspapers and broadcasters, can be deemed as elite communities. Existing mass media producers are those who went through a long period of education and training and a certain amount of capital is required to run a medium.

Traditional media has a function called “gate keeping” to prevent the quality of messages lowering due to self-righteousness and errors, which are the byproducts of traditional media’s one-way communication structure. Gate Keeping makes messages go through a series of filtering systems before official publishing to maintain fairness and prevent any damage to individuals and the nation. Though such self-screening procedures are not perfect, they are traditional media’s utmost efforts to minimize the drawbacks of its unilateral communication method. On the other hand, one-person media such as blogs, online discussion cafes, and individual online rooms can be taken part in by anyone with Internet connections and they are run on a real-time and horizontal basis. Thus, such an online environment gets the credit for taking participatory democracy to new heights. Yet, the Internet cannot put the gate keeping function in place.

Professor Chung Jin-Wook who is a technical advisor to Korea IT Times served as the dean of the Graduate School of Sungkyunkwan University (SKKU), President of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KIPS) and Vice Chairman of IPAK (IT Professional Association of Korea). As of now, He is an honorary professor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School at Sungkyunkwan University (SKKU) and Chairman of the Ethics Council on Internet.

Besides, online anonymity inundates the Internet with irresponsible messages and the absence of discussion mediators can allow a few ill minded people to drive public opinions in the wrong direction. That’s why the issue of Internet ethics has emerged. Newspapers, representative of traditional media, were also once labeled as “yellow journalism” owing to their excessive commercialism and sensationalism: they presented little, well-researched news and instead used tabloid-style headlines to sell more newspapers. Then, media ethics were introduced to fix things right. Korea also has put in place media ethics principles and the outline of practicing media ethics to encourage voluntary efforts from traditional mass media.

However, the Internet, an individual-based communication medium, has neither gate keeping function nor ethics principles. Netiquette (short for "network etiquette") was created and is being embraced by many, but it does not fully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net as a form of media. Though establishing Internet ethics rules is very important, it gets little attention and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is issue. As a result, possible online-versions of gate keepers have yet to be contemplated, which is truly unfortunate.

The essence of media is to encourage more brisk conversations among people and to carefully listen to what they say. Since the Internet is the best medium to live up to the essence of media, the Internet can be called the ultimate version of mass media. The Internet, which came 300 years after the introduction of daily newspapers and about 150 years after the emergence of the world’s first electric communications’ method “telegraph”, is reinventing itself as a new medium that has the greatest impact on our ways of thinking. Internet ethics aim to turn the Internet world that we are in on a daily basis into a humane space full of warmth and sympathy. Therefore, Internet users, IT experts and eventually all Koreans should pay due attention to Internet ethics and accept them as a new set of necessary manners.

In the US, activities for promoting Internet ethics, which are regarded as part of the environmental movement aimed at handing over a clean Earth to the next generations, enjoy much attention and efforts are being made to make the Internet environment cleaner for generations to come. Unfortunately, worries over the dysfunctions of the Internet do not directly translate into systemic efforts to overcome them in Korea. Making the Internet world more livable for the next generations necessitate continued attention and efforts just like we all agree that strenuous, continuing efforts are required to protect the environment. If the environmental movement is for the good health of our bodies, endeavors for promoting Internet ethics is, as it were, an environmental movement for our healthier mentality.


미디어의 본질과 인터넷윤리

한국 인터넷 진흥원은 매년 한국 인터넷 백서를 발표하고 있다.국문과 영문의 두가지로 발표 되는데 500여 페이지에 걸쳐 우리나라 인터넷의 중요한 통계를 비롯해서 인터넷 인프라,인터넷 기술,인터넷 서비스,비지니스,사회 동향,관련 법 제도까지 다양한 정보가 소개 되고 있어 인터넷에 관심을 갖고 있는 모든 사람들에게 매우 유용하다.진흥원 홈페이지에서는 e-book으로 백서 전체를 공개하고 있어 이용 하기도 편리하다.인터넷백서 2010년도 판에 소개 된 통계에 따른면, 우리나라 초고속 인터넷 가입자 수는 1천 600만을 넘어서고 있으며 만 6세 이상 인터넷 사용 인구는 3천 600만에 이르고 있다. 또한 3세에서 5세 사이의 유아 들은 두 명 중 한명이 인터넷을 이용하고 있으며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학생의 99% 이상이 인터넷을 사용하고 있다. 미디어로서의 인터넷을 이해 하기 위해 다른 통계를 좀더 보기로 하자.

신문 구독률은 최근 몇 년 사이에 70% 대에서 30% 대 중반으로 거의 반으로 떨어진 반면 같은 기간 동안 인터넷 이용률은 40% 대에서 80% 대로 2배 증가 했다. 가장 영향력 있는 매체의 순위에서 전 연령대의 전체 평균을 보면 KBS,MBC,네이버의 순서 이지만 29세 이하의 평균은 네이버,KBS,MBC의 순서가 되며 가장 신뢰하는 매체 순위를 보면 전 연령대의 전체 평균은 KBS,MBC,네이버의 순서지만 29세 이하의 경우는 네이버,MBC,KBS 순서가 된다. 연령대 별로 주로 이용하는 뉴스 매체를 보면 젊은이 들일수록 인터넷을 이용해 뉴스를 얻는 비율이 점점 더 높아져 20대의 경우는 거의 90%에 이른다. 최근 들어 스마트폰의 보급이 급격하게 이루어지고 있는데 스마트폰의 보급은 이러한 경향을 더욱 촉진 시켜 우리의 다음 세대에 가게 되면 모든 연령대에서도 인터넷은 TV와 함께 가장 우리생활에 큰 영향력을 갖는 강력한 미디어의 역할을 담당하게 될 것이다.

고전적인 미디어의 기본 기능은 뉴스의 보도와 함께 여론 형성과 전달 사회 환경의 감시 오락의 제공 및 공론자의 역할을 담당하는 것이다.인터넷이 담당하는 미디어로서의 역할도 다르지 않다.그렇지만 고전미디어와 인터넷 미디어는 몇가지 차이점을 갖고 있다.우리는 그 차이점을 이해하고 잘 활용해야만 인터넷 미디어의 역기능에 빠지지 않고 바른 미디어 참여자,이용자가 될수 있을 것이다.근본적으로 고전 미디어는 신문과 방송이 그 역할은 담당하는데 이들은 엘리트 커뮤니케이션으로 볼수 있다.미디어의 제작자는 오랜 시간동안 교육과 훈련을 받은 사람들과 일정규모의 자본으로 구성된다.

고전 미디어는 일방향적 수직적 구조 때문에 발생 할수 도 있는 독선과 오류로 인한 메시지의 질의 저하를 극복하기위해 게이트키핑 기능을 갖고 있다. 게이트 키핑은 메시지를 퍼블리시 하기전에 여러번의 여과 장치를 두어 발행된 기사로 인해 개인과 사회 국가에 피해가 발생하자 않도록 공정성을 담보하게 된다.이러한 장치가 완벽하게 모든 문제를 해결 하지는 않지만 일방향성이 갖을수 있는 약점을 최소화 하기위해 최대로 노력 하는 것이다. 이에 반해 인터넷 상에 구현 되는 블로그 토론방 카페 개인 홈피 SNS UCC 등은 1인 미디어로서 누구나 참여 가능 하고 현장성 동시성 수평성 등의 참여 민주주의 구현에 알 맞는 특성을 갖고 있지만 1인미디어의 근본적인 한계 때문에 게이트키핑 장치를 둘 수 가 없다.더구나 익명성 때문에 무책임한 메시지가 넘쳐 나는 부작용과 토론의 경우 중재자가 없기 때문에 소수의 특정인의 의도에 따라 여론의 향방이 엉뚱하게 흘러 가는 다수자의 오류를 범할 위험이 상존 하고 있다.여기에서 미디어로서의 인터넷의 윤리 문제가 등장하게 된다.

대표적인 고전 미디어인 신문의 경우도 한때 지나친 상업성의 추구로 흥미 위주의 자극적 선정적 오락적 기사로 문제가 된 옐로우 저널리즘 범람 이라는 아픈 과거를 갖고 있고 이를 극복 하기위해 미디어 윤리가 등장하게 되어 오늘에 이르게 되었다. 우리나라도 신문 방송 모두에 윤리강령과 윤리실천 요강이 마련되어 이를 지키기위한 자율적인 노력이 이루어 지고 있다.그러나 인터넷 개인 미디어의 경우 게이트 키핑 기능이 없을 뿐 아니라 윤리강령도 윤리실천 요강도 없다. 네티켓이 만들어져 보급 되고 있으나 여기에는 인터넷의 미디어로서의 특성이 충분히 반영되어 있지 못하다.이 부분은 매우 중요 함에도 불구 하고 의외로 관심과 연구가 부족하여 실효성 있는 대안이 나타나지 않고 있다. 안타까운 일이다.

미디어의 본질은 좀 더 많은 사람과 대화하고 그 들의 말에 귀를 기울여 주는 것이다.인터넷은 이러한 미디어 본질을 가장 잘 충족 시켜 주는 도구로서 미디어 의 완성판으로 볼 수 있다.일간 신문이 등장 한지 300년 최초의 전기적인 통신 방식인 전신이 발명된지 150여년이 지나서 우리가 살게된 인터넷 세상은 우리의 정신 생활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새로운 환경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모든 사람이 매일 접하고 살아 갈 수 밖에 없는 인터넷 세상을 미디어로서 이해하고 따듯하고 정이 넘치는 공간으로 만들어 가는 것을 목표로 하는 인터넷 윤리는 IT 전공분야에서 뿐 만 아니라 모든 인터넷 이용자 결국은 모든 국민이 관심을 가져야 할 필수 소양이 되어가고 있다.

미국에서는 인터넷윤리 운동을 후손에게 깨끗한 지구 환경을 물려주어야 할 지구 환경 운동과 같이 깨끗한 인터넷을 물려주기 위한 인터넷 클린 환경 운동으로 인식하고 많은 관심과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안타깝게도 우리나라에서는 인터넷 역기능을 걱정하는 것 만큼 장기적인 관점에서 역기능을 극복하기위한 체계적인 노력이 따르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우리모두의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과 투자가 이루어져야 지구 환경 만큼 중요한 바람직한 인터넷 환경을 만들어 후손에게 물려 줄 수 있을 것이다. 지구환경이 인간의 몸을 위한 환경운동이라면 인터넷 윤리 운동은 인간의 정신을 위한 환경운동이기 때문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ABOUT
  • CONTACT US
  • SIGN UP MEMBERSHIP
  • RSS
  • 2-D 678, National Assembly-daero, 36-gil, Yeongdeungpo-gu, Seoul, Korea (Postal code: 07257)
  • URL: www.koreaittimes.com | Editorial Div: 82-2-578- 0434 / 82-10-2442-9446 | North America Dept: 070-7008-0005 | Email: info@koreaittimes.com
  • Publisher and Editor in Chief: Monica Younsoo Chung | Chief Editorial Writer: Hyoung Joong Kim | Editor: Yeon Jin Jung
  • Juvenile Protection Manager: Choul Woong Yeon
  • Masthead: Korea IT Times. Copyright(C) Korea IT Times, All rights reserved.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