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uclear Energy Scandal to ' World Energy Congress Daegu 2013 '
Nuclear Energy Scandal to ' World Energy Congress Daegu 2013 '
  • Korea IT Times (info@koreaittimes.com)
  • 승인 2013.08.12 18:3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SEOUL, KOREA - With the 22nd World Energy Congress planned to be held in Daegu starting on October 13th, South Koreans are going through one of the hottest summers due to severe power shortages this year. "Power saving" has become one of the most popular keywords from the national news media and electric power reserve announcements are made almost as often as daily weathercasts.

In recent years, Korean nuclear power industry has suffered a series of shutdowns, corruption scandals and mechanical failures, compromising public confidence in atomic energy, already shaken by the 2011 Fukushima nuclear disaster in Japan. In the midst of such public disappointment and mistrust, voices of criticism eventually rise to question if the power authorities who have caused this national energy crises are qualified to host such important event like the World Energy Congress.

The handwriting on the wall was first seen last year, while the nuclear power reactor, Younggwang 3, in Younggwang, adjacent to the West Sea, was being checked up. During the maintenance process, damages in control rod guide tubes were detected which could have caused dire consequences including explosion if radioactive steams leaked through the crack in the tube. Younggwang 3 had to shut down for inspection and a major overhaul in November, 2012. It certainly was an urgent matter directly linked to the public safety, but the incident, somehow, was not known to public immediately. Even at the time when the circumstances that not only Korea Hydro and Nuclear Power (KHNP), the operator of nuclear power plant work, but also the Nuclear Safety and Security Commission (NSCC), the regulatory authority, tried to hush up the affair surfaced, no one really suspected it to be just the very tip of an iceberg.

Soon after, another nuclear reactor, Younggwang 4, was diagnosed with problems in the control rod guide tube. Wolsung 1 reactor, of which the design life came to an end on November 20th, 2012, was also embroiled in controversy as KHNP came up with an operation life extension plan. Environmental and citizen's groups have been protesting against such extension of operation life out of safety concerns.

In the meanwhile, one of the main issues of this infamous nuclear power scandal was brought up: fake certificates. All parts supplied for use in the reactors require quality and safety certificates from testing companies. Nevertheless, it turned out that 587 parts in 34 categories used for nuclear reactors including Uljin 3, 4 and Younggwang 3, 4, 5, 6 were supplied based on forged qualification documents. Further inspection after the parade of shutdowns found 694 more parts in 12 categories with fake warranties used in Younggwang 5 and 6 to put off their reactivation. In May, more nuclear reactors were closed over forged documents in Gori, near the southern port of Busan.

At proper capacity, South Korea's nuclear reactors supply more than 35% of national electricity needs. Since 10 of 23 reactors are currently offline for various reasons, 7,700,000 kilowatts of electricity which is about 37% of national nuclear power capacity cannot be produced, prompting government warnings of serious power shortages.

According to the parliamentary audit report last year, four companies barred from bidding due to involvement in irregularities between 2008 and 2012 had won presidential commendations or been recognized as “outstanding nuclear power businesses for shared growth and cooperation.” Saehan TEP, one of the testing organizations implicated in the forgery of test results for control tubes, has earned an award for being an “outstanding business” from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in 2012. KHNP has roughly one thousand companies making three million nuclear power plant parts and now it is uncertain how safe they truly are. Even NSCC acknowledged that similar scandals could emerge in the future.

Critics peg a “back scratching” culture as the root of the problem which has been endemic since the atomic energy division was established in 1956 in the technology education bureau of what was then the Ministry of Education. “There has never been any accountability or punishment whenever a problem has occurred,” said Jang Jeong-wook, a professor at Japan’s Matsuyama University in a news media interview. “The logic that governs South Korean nuclear power plant safety is less about safety than economics.”

Up until the NSSC was founded in October, 2011, national nuclear power safety and oversight was in charge of agencies that also carried out nuclear power promotion, such as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Laws on nuclear power operated through one system, the Atomic Energy Act, for around fifty years. It took until July 2011 for them to be separated into the Nuclear Power Promotion Act, Nuclear Safety Act, NSSC Act, and other legislation. The previous system had been noted as a problem by the 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 (IAEA).

Even after the NSSC took over regulatory duties in 2011, reliable supervision is scarce still. The chairman of the NSSC Lee Eun-cheol and former chairman Kang Chang-soon were both member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Many executives at Doosan Heavy Industries and Samsung C & T, which were involved in power plant constructions, also belong to the society.

The nuclear community in South Korea is a cramped world - and a powerful one at that. The longstanding trend of former officials at KHNP being hired by partner businesses has been accused by many as a major factor in corruption. According to the data on employment for former employees at KHNP, 81 former executives and Level 1A, 1B, and 2 officials were employed at 61 private businesses, public enterprises, and research institutions between 2003 and 2012. 73 of the 81 were ranked at least Level 1 who could have been power plant directors or office or section chiefs at the corporation’s headquarters. “Stakeholders are employed in the government and regulatory organizations. We could be seeing a lot more layers to the nuclear power scandal onion going ahead,” said Jang Jeong-wook during an interview conducted by media.

With the expertise involved, symbiosis between regulatory organizations and nuclear power promotion companies seems inevitable. Since KHNP provides part of the nuclear energy R&D and safety monitoring budget, the NSSC’s independence also cannot be guaranteed.

The close ties between companies and regulatory officials and the exclusive ecosystem in the nuclear power business have earned them the notorious nickname, “nuclear power mafia.” Since the eruption of the scandal, a number of officials and workers involved have been submitted to disciplinary measures. After President Park Geun-Hye demanded action over what she called "unpardonable" corruption in the nuclear power sector,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said in a statement that KHNP president Kim Kyun-Seop was dismissed from his post. It added that An Seung-Kyoo, CEO of Korea Electronic Power Corporation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KEPCO E&C), which is responsible for nuclear power plant design and technology, would also be fired at a board meeting.

The nation has been deeply disheartened by this whole nuclear power fiasco, but still, the mafia bosses are hidden in the dark. People who have been caught are just strings, not even near the “puller”. Despite increasing public concern, the government has vowed to move on with its nuclear power programme and plans to build an additional 16 reactors by 2030.

South Korea is the second country in the East Asia to host World Energy Congress. World Energy Congress is an international conference by World Energy Council consisted of over 3,000 companies from 92 countries. A wide range of influential figures will appear and it is an unprecedented opportunity to network with top global players, explore business opportunities, secure investment, and access new markets.

It is questionable whether KEPCO who has to reform corruptions and scandals can successfully host the World Energy Congress Daegu 2013 and gain trust from member countries. In addition, given that KEPCO plans to export nuclear power plants to Arab Emirates, preparing to take a big leap forward to becoming a leading nuclear power plant export country, it must reform human resources and corrupted systems.

 

원자력 에너지 스캔들과 ' 2013 대구세계에너지총회 '

SEOUL, KOREA - 오는 10월 13일 대구에서 개최되는 제 22회 세계에너지총회를 앞두고 대한민국 국민들은 심각한 전력난으로 유독 뜨거운 여름을 보내고 있다. “절전”은 국내 뉴스의 단골 단어가 된지 오래이며 전력 예비율을 일기예보처럼 연일 발표하고 있다. 최근 몇 년간, 한국 원자력 발전 산업은 잇따른 원전 폐쇄, 비리 스캔들 그리고 기술적 장애들을 겪으며 2011년 일본 후쿠시마 원전 폭발 이래 급격히 하락한 원자력 에너지에 대한 대중의 신뢰를 재차 위협해 왔다. 그러한 실망과 불신 속에서 현재의 전력난을 초래한 에너지 당국이 과연 세계에너지총회와 같은 중요한 국제 행사를 맡아 진행할 자격이 있는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불안의 조짐은 지난해 서해안 영광군에 위치한 영광 3호 원전 점검 중에 불거졌다. 점검 과정에서 마모된 틈으로 방사성 증기가 새어 나오게 되면 최악의 경우 원전 폭발로까지 이어질 수 있는 제어봉 안내관에 결함이 발견된 것이다. 영광 3호는 결국 2012년 11월 폐쇄되어 점검 및 보수작업에 들어가게 됐다. 그것은 공공의 안전에 직결되는 긴급한 사안이었으나 어쩐 일인지 바로 대중에게 알려지지 않았다. 이에 한국수력원자력뿐 아니라 규제기관인 원자력 위원회조차 이를 쉬쉬하고자 한 정황 증거가 수면으로 떠올랐을 때만 해도 그것이 빙산의 일각에 불과하다는 것을 인지하는 이는 많지 않았다.

영광 3호 사태 이후 영광 4호 역시 제어봉 안내관에 이상 징후 진단을 받았다. 2012년 11월 20일자로 설계 수명이 다한 월성 1호기에 대해 한수원측이 수명연장 계획을 제기하여 논란이 일기도 했다. 환경과 시민단체들은 공공안전을 위협하는 그러한 연장 운영을 지속적으로 반대해왔다.

그 와중 일련의 원전비리사건의 중요한 키워드인 ‘위조 부품’ 파문이 일며 사태는 새로운 국면을 맞이했다. 원전에 사용되는 모든 부품은 인증기관에서 시행하는 품질 및 안전 검사를 거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울진 3, 4호기와 영광 3, 4, 5, 6호기에 사용된 34개 품목 587개 부품이 위조된 품질 검증서로 납품된 정황이 드러난 것이다. 문제 부품들이 사용된 원전의 폐쇄가 잇따르는 가운데 영광 5호기와 6호기에서 추가로 12개 품목 694개 부품의 검증서가 위조된 정황이 드러나며 해당 원전들의 재가동 여부를 더욱 불투명하게 만들었다. 올해 5월에는 위조 부품을 사용한 부산 인근 고리의 원전들이 추가로 가동 중지되었다.

정상 가동시, 한국의 원자력 발전소들은 국내 전력 소비량의 35퍼센트 이상을 제공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현재 총 23기 원전 중 10기가 가동이 멈춘 상태로 원자력 발전 총 전기 생산량의 37퍼센트에 해당하는 770만 킬로 와트의 전기를 생산하지 못하게 되어 정부로 하여금 전력수급비상체제를 가동하게 했다.

지난해 국정감사 자료를 보면 비리로 인해 입찰자격 제한 조치를 받은 업체들 중 4곳이 2008년도에서 2012년 사이 대통령 표창을 수상하거나 ‘상생협력 우수 원자력 기업인’으로 선정되는 등 우수업체로 인정받아왔던 것으로 알려졌다. 문제 부품의 제품 품질 및 안정 시험 성적 위조 참여 업체인 새한 TEP는 2012년 교육 과학 기술부 표창까지 받은 우수업체로 알려졌다. 한수원측은 천여 개 업체에서 삼백만 개 부품을 원전에 납품 받고 있으나 현재로선 그러한 부품들의 안정성을 장담하기 어렵다. 원자력안전위원회조차도 그러한 추문이 재차 불거질 수 있음을 인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비평가들은 1956년도 문교부 기술교육부에 원자력과가 신설되었을 때부터 업계에 만연해 온 유착관계를 이문제의 근원으로 지목한다. 일본 마츠야마 대학 장정욱 교수는 언론과의 인터뷰를 통해 문제가 발생할 때마다 책임 추궁과 처벌 없이 지금까지 왔다며 “한국의 원전 정책은 안전보다 경제성의 논리에 휘둘려 왔다”고 지적한 바 있다.

2011년 10월 원자력안전위원회가 발족되기 전까지 교육과학기술부를 위시한 원자력 에너지 개발 기관에서 안전성 심사도 담당하는 체제였다. 50여 년간 원자력 발전 산업은 원자력법 하나로 규제되어 왔다. 원자력 발전의 안전은 2011년에 이르러서야 IAEA에게도 지적 받아왔던 기존의 단일 시스템을 벗어나 원자력진흥법, 원자력 안전법, 원자력안전위원회법 및 별도 법령의 제재를 받게 되었다.

그러나 원자력안전위원회가 2011년 원자력 안전 규제 및 심의 업무를 인수한 이후에도 공정한 심사를 기대하기는 어려웠다. 이은철 원자력안전위원회 위원장과 강창준 전 위원장은 원전 건설 관련 업체인 삼성물산과 두산 중공업 등 업체 임원들이 다수 소속 되어 있는 한국원자력학회 출신이다.

한국의 원자력 업계는 매우 좁고 위세가 등등한 집단 사회다. 한수원에서 근무했던 고위 공직자들이 협력사들의 요직을 맡는 일이 일종의 전통으로 자리잡으며 각종 부패의 원흉으로 비난 받아왔다. 한수원의 퇴직자 재취업 현황 자료에 따르면, 81명의 전 간부 및 2명의 직원이 61군데 사기업, 공기업 및 연구 기관에 고용되었다고 한다. 81명 중 73명은 발전소 감독관, 본사 부서장 급인 1급 이상 간부인 것으로 알려졌다. 장정욱 교수는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정부와 규제기관은 이해당사자들이 차지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원전 관련 비리가 “양파껍질 벗기듯이” 나올 수 있음을 시사했다.

해당 분야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한 규제기관과 원자력 발전 회사들의 공생관계는 필연적인 것으로 보인다. 한수원측에서 원자력안전위원회의 원자력 연구개발 예산과 안전 감시 예산을 부담하고 있는 현실 속에 규제기관의 독립성 역시 담보되지 못하고 있다. 그러한 감시 기관과 업체들의 유착관계는 그들에게 ‘원전 마피아’라는 불명예스러운 별명을 부여하기에 이르렀다. 비리 스캔들 발발 이래 많은 한수원 및 업체 관련자들에게 제재 조치가 취해졌다. 박근혜 대통령의 원전 비리 ‘발본색원’ 촉구가 있은 후 산업통상자원부는 김균섭 한수원 사장을 면직 발표하고 원자력 발전소 설계와 기술에 대한 책임이 있는 한국전력기술 안승규 사장 역시 해임될 것임을 밝혔다.

대한민국은 원자력 발전을 둘러싼 일련의 사태에 깊게 낙담한 상황이나 원전 마피아의 보스들은 여전히 어둠 속에 몸을 숨기고 있다. 발각된 사람들은 그들이 조종하는 끊어진 실낱에 불과하며 배후의 조종자들은 여전히 밝혀지지 않은 상황이다. 한편, 국민들의 관심과 염려가 커져가는 가운데 정부는 전력난 해소를 위해 2030년까지 16기 원전을 추가로 건설하는 계획을 추진할 것을 선언했다.

대한민국은 동아시아 지역에서 세계에너지총회를 개최하는 두 번째 국가다. 세계에너지총회는 92개국 3,000여 개 회원사로 구성된 민간 에너지 기구인 세계에너지협의회가 주관하는 에너지 관련 국제 회의다. 수 많은 주요 인사들이 참여하며 에너지 관련 주요 기업들의 최신기술 교류 및 정보교류의 장이 될 예정이다.

각종비리와 원전스캔들을 최종적으로 개혁해야 하는 큰 과제를 안고 있는 한국전력이 세계에너지총회의 의장국으로서 회원국가들로부터 과연 지지와 존경을 받고 대회를 치를 수 있을지 걱정하지 않을 수 없다. 더군다나 아랍에미레이트에 원전수출할 계획과 더불어 원전수출강국으로 도약을 꿈꾸고 있는 한전으로서 뼈를 깎는 심정으로 책임감 있는 인적쇄신과 시스템 변혁의지가 절실해 보인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ABOUT
  • CONTACT US
  • SIGN UP MEMBERSHIP
  • RSS
  • 2-D 678, National Assembly-daero, 36-gil, Yeongdeungpo-gu, Seoul, Korea (Postal code: 07257)
  • URL: www.koreaittimes.com | Editorial Div: 82-2-578- 0434 / 82-10-2442-9446 | North America Dept: 070-7008-0005 | Email: info@koreaittimes.com
  • Publisher and Editor in Chief: Monica Younsoo Chung | Chief Editorial Writer: Hyoung Joong Kim | Editor: Yeon Jin Jung
  • Juvenile Protection Manager: Choul Woong Yeon
  • Masthead: Korea IT Times. Copyright(C) Korea IT Times, All rights reserved.
ND소프트